IT&컴퓨터/HW설치&설정

쌓여있는 충전기를 보며..

백단z 2021. 12. 7. 01:53

집에서 뒹굴고 있는 전자제품이 워낙 많기도 하고,

집이 다락포함 4층 구조이기 때문에 층마다 최소한 충전기가 한개씩은 필요하다보니 집에 충전기가 꽤나 넘쳐난다.

휴대폰을 살때, 기타 전자기기들 살때 받았던 충전기들

1구짜리/멀티포트/USB(?)/전류측정기(??)

 

돈주고 산 멀티포트 충전기들

 

예전에 산건 덩치도 크고 출력도 약한데 가장 최근에 산건 충전속도도 빨라졌는데 크기도 확 줄어들었다.

마우스보다 작은녀석인데 단일 65W 출력단자 + 출력단자 2개 더 있음.(얘네도 쌤)

글 남기는 김에 여러가지 경험치를 기반으로 해서 충전기 사용 또는 구매시 고려해야하는 포인트를 정리해보면

1. 무조건 접지가 되야한다.

접지가 안되면 인체 또는 기기에 전기적인 충격을 줄 수 있다.

인체에는 기껏해야 정전기 정도이지만 기기는 고장위험이 있다.(연결할 때 지지직 하고 소리가 날때는 심장이 덜컹)

2. 최대출력을 봐야하고 그에 맞는 케이블을 갖춰야 한다.

충전기에서 나오는 출력이 100W 인데 65W짜리 케이블을 쓰면 제대로된 성능을 못 뽑아내거나 케이블이 망가진다.

3. 출력장치와 입력기기의 전압/전류 확인(아래 기타참고자료에 더 자세히 적혀있음)

전압 : 입력기기가 받을 수 있는 전압의 10% 이상 차이나지 않으면 문제없다.

전류 : 입력기기보다 출력장치의 수치가 높다면 문제없다.

(사실 요즘 나오는 충전기는 웬만한 전압은 다 지원하고, MAX전류량도 충분한데다가 알아서 최적화해서 충전해준다.)

충전기 사용할 때 위 3가지 정도 고려하면 충전기, 케이블, 충전받을 기기 까지 모두 오랫동안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기타 참고자료 :

접지(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C%A0%91%EC%A7%80)

접지(接地) 또는 그라운드(영어: ground, earth)는 전기 회로나 전기 기기 따위를 도체로 땅에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이상 전압 발생시에도 고장 전류를 표면 전위가 영전위인 대지로 흘려보내, 같은 전위로 유지하여 기기와 인체를 보호한다. 어스(영어: earth), 지락(地絡)이라고도 부른다.

금속체와 대지를 접속하는 단자를 접지전극(grounding electrode)라고 하며 보통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도체가 사용된다. 접지전극과 접지를 하는 설비를 연결하는 도선을 접지도선 또는 접지선(grounding conductor)이라고 한다.

GaN이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요? (출처 : https://www.belkin.com/kr/resource-center/gan-chargers/)

질화 갈륨(GaN)은 충전기의 반도체에 사용되기 시작한 소재입니다. GaN은 90년대부터 LED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으며 위성의 태양 전지 어레이용으로도 널리 사용되는 소재입니다. 충전기에 있어서 GaN의 가장 중요한 점은 발열량이 적다는 것입니다. 발열량이 적어 부품을 서로 더 가까이 배치할 수 있으므로 모든 전력 기능 및 안전 표준을 유지하면서 그 어느 때보다 충전기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본격화된 GaN의 실리콘 대체 흐름 (출처 : https://www.belkin.com/kr/resource-center/gan-chargers/)

실리콘은 80년대부터 트랜지스터의 소재로 사용되었습니다. 실리콘은 진공관과 같이 이전에 사용된 소재보다 전기를 더 잘 전달하고, 생산 비용이 그다지 많이 들지 않기 때문에 비용을 낮춥니다. 오늘날 우리에게 익숙한 높은 성능은 수십 년에 걸쳐 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얻게 된 결과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은 여기까지로만 그칠 수 있습니다. 실리콘 트랜지스터는 제공하는 이점의 한계에 가까워졌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열 및 전기 전달에 관한 실리콘 소재 자체의 특성에 따라 부품이 더 이상 작아질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GaN은 다릅니다. GaN은 훨씬 더 높은 전압을 전달할 수 있는 수정 같은 소재입니다. 전류는 실리콘보다 GaN으로 만든 부품을 더 빨리 통과할 수 있으므로 처리 속도가 훨씬 더 빨라집니다. GaN은 더 효율적이므로 발열량이 적습니다.

PPS (출처 : https://powerzone.co.kr/pst/?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3940168&t=board)

PPS는 Programmable Power Supply의 준말로 USB IF(USB 사용자포럼)에서 PD3.0 규격에 추가한 기능으로, 충전기와 디바이스가 통신을 통해 서로의 충전 조건에 맞추어 최적의 충전 속도를 조정하는 기능입니다.

고출력 충전기 사용시 고려사항 (출처 : https://www.ahnlab.com/kr/site/securityinfo/secunews/secuNewsView.do?seq=28585)

충전기 어댑터에는 몇 가지 숫자가 적혀 있다. 5V 2A, 5V 1.8A 등의 표기가 되어 있는데 V(Volt)는 전압 수치, A(Ampere)는 전류의 양을 나타낸다. 전압(V)은 스마트폰 기기에 적혀 있는 것과 일치하는 것을 쓰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구매했을 때 동봉된 충전기가 5V 출력의 제품이었다면 해당 스마트폰은 5V 출력의 충전기에만 연결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10% 내외의 전압은 크게 상관없지만 5V 제품에 10V 출력의 충전기를 연결하는 것은 삼가해야 한다.

또한 1A 입력 기기에 2A 출력 충전기를 연결해도 문제는 없다. 충전기에 적힌 2A 출력 수치는 해당 충전기에서 공급할 수 있는 최대 전류의 양이 2A 라는 의미이지 항상 2A의 전류를 고정적으로 기기에 공급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만약 최대 전류의 양이 1A라면 충전기 표기 출력이 2A라도 기기에서 끌어서 쓰는 전류의 양은 1A가 된다. 따라서 1A 입력의 스마트폰이나 보조배터리에 1.8A나 2A 충전기를 연결해서 써도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더 낮은 출력의 충전기를 연결하는 경우는 충전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충전기 수명이 짧아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연결 기기에서 1A의 전류를 요구하는데, 충전기에서 공급할 수 있는 최대 전류의 양이 0.5A 밖에 되지 않는다면 당연히 충전기에 무리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내부에 과도한 열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충전기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할 확률도 커진다.

고출력의 충전기를 이용한 고속 충전이 배터리의 수명에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지만 확인된 사항은 아니다. 다만, 충전의 속도 보다는 충전의 횟수가 배터리 수명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