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컴퓨터/SW설치&설정

오라클 클라우드 VM만들기

백단z 2021. 11. 27. 02:24

평생무료 오라클 클라우드 VM을 만들어 봅시다.

1. 계정생성

2. VM Instance 생성

끝.

1. 계정생성

1-1. 요구하는 정보들을 팔아넘깁니다. (영문으로 하세요)

대한민국 / 영문 이름 / 영문 성 / 메일

 

1-2. 입력한 메일의 받은메일함 또는 스팸메일함으로 가서 컨펌

입력한 메일함에서 컨펌

1-3. 달라는 정보 집어넣고 홈영역 부분은 서울, 이용약관들 다 체크하고 계속

서울 선택 / 약관 체크 / 계속
 
 

1-4. 주소 입력

→ 영문주소는 우체국에서 변환해서 입력

    https://www.epost.go.kr/search.RetrieveIntegrationNewZipCdList.comm

→ 휴대폰은 010에서 0빼고 10부터 입력 (+82 10 0000 0000)

영문주소 / 휴대폰 +82 10 0000 0000

1-5. 카드정보 입력 (검증을 위해 결제 되었다가 취소됨)

 

지급 검증  > 크레딧카드 > 카드정보 입력 후 Finish
 
 

계정생성 끝

2. VM Instance 생성

2-1. VM Instance 생성

VM 인스턴스 생성 클릭

2-2. 여러가지 있는데, 이미지 및 구성 / SSH 키 추가 정도만 해주면 됨.

→ Oracle Linux가 싫다면.. 이미지 및 구성 편집 -> 이미지 변경

Oracle Linux가 싫다면..

→ Windows 빼곤 모두 무료라고 되어 있으니, 마음에 드는것으로 선택

저는 우분투 선택

 

2-3. SSH키 등록 (대략적으로 등록한 PC에서만 접속가능하도록 하는 암호화 통신방식 인거 같아요)

→ Windows PC의 경우 시작 -> CMD

명령 프롬프트 실행

 

→ ssh-keygen -t rsa 엔터 (이후에 아무것도 안넣고 그냥 엔터 3번더)

뭐가 중요한지 몰라서 모자이크를 많이......ㅎㅎㅎㅎㅎ

→ 파일 탐색기에서 id_rsa.pub 파일을 열고

(C:\사용자\window로그인 id\.ssh 아래에 있음, txt 파일로 열어야 함-메모장으로 open)

→ 메모장안에 키 값을 전부 복사

→ 오라클 VM생성페이지 SSH 공용키 붙여넣기 선택

→ 텍스트 내용 붙여넣기

끝나갑니다.

2-4. 생성

드디어 끝

주의사항 : (참고링크 : https://blogpack.tistory.com/935)

- 무료로 사용하는 오라클DB는 일정시간 접속이 없으면 서스펜드 모드로 들어갔다가 일주일 후에는 DB가 꺼집니다. 로그인해서 다시 켜면 사용할 수 있지만, 무료 서비스이므로 이 정도는 감수하고 사용해야 합니다.

- 생성한 VM은 마이크로 싱글코어 머신으로 저성능입니다. 부하를 많이주는 서비스 같은건 무리입니다. 램도 1G여서 무거운 프로그램은 못돌립니다.

- 실수로 유료서비스를 생성하면 안됩니다. 가입할 때 신용카드 등록을 하기 때문에, 유료를 신청하면 익월에 카드에서 빠져나갑니다. 무료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는 무료(Always Free Eligible)라고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실수로 유료를 생성할 가능성은 사실 낮습니다.

- VM으로 생성하는 리눅스가 오라클 리눅스입니다. 설치되는 버전은 7이고 레드헷 계열이므로 레드헷에 익숙한 분은 무리없이 사용가능하지만, 오라클용으로 약간 최적화되면서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오라클 클라우드에 재접속 했을때 인스턴스 찾는 방법 :

오라클 클라우드 > 대시보드 > 컴퓨트 > 인스턴스 > 표시이름 선택

VM찾아가기

 

여러가지 정보가 나오는데, 공용IP 정보가 가장 중요하다 복사해서 어딘가 저장해두자.

공용 IP가 있어야 접속가능, 접속 방법은 추후에..

다음 글은 Visual Studio Code 를 통해 VM에 접속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대해주세요~~

반응형